궁체를 쓰기 위한 볼펜글씨 쓰는 법
현재 글씨쓰기 방법은 과거 일제 강점기 부터 사용 해 온
펜글씨 사용법으로 볼펜글씨를 쓰고 있으며
모든 글씨본이 아래의 방법으로 필기를 하고 있다
펜촉의 끝은 둥글게 되어 있으며
필을 65도 이상으로 잡으면 펜끝이 뽀족하여
종이에 박혀 글씨가 써지지 않는다
펜촉의 둥근부분으로 잉크가 새어 나와
필기가 된다
그러나 볼펜을 펜글씨처럼 65도 정도로 필을 잡고
쓸 경우 가운데 손가락 마디에 필기구가 걸려
글씨 세로획이 길게 나오지 않고
손가락에 피료감이 심하여 오래 글씨를
쓰기가 힘이 든다
교과서에서도 이렇게 필기하라고 가르친다
글씨에 대한 이론이 전혀 없이
옛날 펜글씨방식으로 볼펜을 쓰도록 가르친다
글씨가 잘 안됨으로
필을 잡는 방식도 각자 모두 다 다르기 마련이다
...
여기에 소개한 우리고유의 문화유산인 궁체는
이렇게 필기하면 절대로 바른 근씨가 나오지 않는다
세손가락으로 필기하는 방법을 삼지법이라고 하는데
아래와 같다
..
글씨가 작아지고 세로획이 짧다
삼지필법은 영어를 필기하는데 적합하지만
직선으로 필기하는 한글쓰기에는 부적합하다
우리는
한글쓰기는 가르치지 않고
영어쓰기를 한글쓰기로 가르치고 있다.
사지필법은 4손가락으로 필을 잡고 필기하는 방식으로
붓글씨를 쓰난 방식이며
궁체를 쓸 경우 반드시 이 방식으로
쓰라고 권하고 싶다..
필기구를 4손가락으로 필을 감싸고 안정감 있고
피로감을 느끼지 않으며
세로획을 자유롭게 반듯하게 내리기 쉽다
여기에 소개한 인선왕후 글씨체를
이 운필법으로 필기 한것이다
삼지필법으로 검지 중심으로 필기하면 지면을 반듯하게 하고 필기 할 경우
약 15도 정도 글씨가 기울어 지게 된다
이것을 억지로 바르게 잡으려고 손가락을 변형시켜 필기하면
손가락 골격이 휘어지게 되어 글씨 쓰기가 매우 힘들어 진다
그래서 최대한 글씨를 작게 쓸 수 밖에 없다
위 자료는
저의 저서 차종안의 볼펜글씨 (한글쓰기편)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관심 있으신분은 책은 절판되어 구할수 없으나
강의를 위해 만든 자료가 구비되어 있사오니
연락 주시면 무로교 파일을 보내 드리겠습니다
낱장으로 필기 할 수 있도록 엑셀파일로
만들었습니다
한자쓰기도 동일하게 재각하였습니다
궁체쓰기에 대한 이론은
저의 저서 [손슬씨 15일 완성] 꿈결출판사
에 참고자료를 수록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