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호의 세한도를 볼펜글씨로 편집하였습니다
....
이우선에게
지난 해(1843) '만학집'과 '대운산방문고' 두 책을 부쳐주었고,
올해에는 또 '황조경세문편'을 부쳐주었소.
이 책들은 모두 세상에 늘 있는 것이 아니라, 천만리 먼 곳에서
여러 해에 걸쳐 사들인 것이지 일시에 해낼 수 있는 일이 아니라오.
더구나 세상의 흐름은 권력가과 재력가를 쫓는데, 그대는 이 책들을
구하느라 이같이 마음을 쓰고 힘을 들여서,
권세가와 재력가들에게 주지 않고, 외딴 섬에서 초췌하게 몰락한
사람에게 주기를 세상 사람들이 권세가와 재력가를 쫓듯이 하였구려.
태사공 사마천이 말했다오.
"권력이나 이익으로 만난 사름들은 권세나 이익이 바닥나면 그 교우도
소홀해진다"라고.
그대 또한 이러한 세상의 흐름 속에 살아가는 한 사람이거늘,
어찌 이 세상의 권력과 이익의 도도한 흐름으로부터 스스로 벗어나,
권세나 재력의 잣대로 나를 대하지 않는단 말이오?
사마천의 말이 틀렸던가?
공자께서 가로되,
"추운 시절이 된 뒤에,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안다"하였소.
소나무와 잣나무는 사계절 상관없이 시들지 않는 나무들이오.
추워지기 전에도 소나무 잣나무요, 추워진 뒤에도 똑같은 소나무 잣나무이거늘,
성인께서는 유달리 추워진 뒤에 그들을 칭찬하셨다오.
지금 그대가 나에게 대하는 것이 이전에 더한 것이 없고,
이후에 덜한 것이 없소. 이전의 그대는 칭찬할 것이 없었으나, 이후의 그대
또한 성인으로부터 칭찬을 받을 만한 것이겠소.
성인께서 특별히 칭찬하신 것은 늦도록 푸른 정조와 굳건함 때문만이 아니라,
추워진 뒤에 느끼신 바가 있었기 때문이요.
오호라? 前漢의 순박한 시절 급암과 정당시(鄭當時)같이 훌륭한 사람들마저
그 빈객들은 그들과 잘 교유하다가 돌아서곤 하였으니,
적공(翟公)이 대문에 방을 써 붙여 풍자한 것 같은 박절의 지극함이라오.
슬프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