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손글씨 쓰는 법(손글씨 15일완성)에 대하여

chaspen 2017. 1. 23. 13:22

글씨는

손 안의 글씨와

손 밖의 글씨가 있다

손 안의 글씨는 획이 손바닥 안에서 써지는 글씨로서

전문가는 모두 이 방법으로 글씨를 쓴다

...

손밖의 글씨는 글씨가 한 쪽으로 약간 기운듯한 글씨가 된다

이것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을 거쳐야만 세로획이 바르게 되지만

대부분 세로획을 바로잡는 훈련을 하지 않고 쓰기 때문에 잘 쓴 글씨임에도

한쪽으로 획이 기운다.



손 밖의 글씨를

예문을 보기로 하면


..






엄지와 검지를 중심으로 손 밖에서 필기하며

현대인의 대부분의 글씨에 해당된다

그러나 잘 보이는 것은 한글의 자음 뿐이다







엄지 검지로 필을 잡고

필 끝이 엄지 검지 사이 깊숙히 들어가면

필의 각도가 작아지며 필 이 손 밖으로 나와 세로획을 손 안으로

끌고 내려오지 못하게 된다

더구나

가운데 손가락이 걸려서 획을 길게 내릴 수 없다

현재 99% 이상이 이 방법으로 글씨를 쓰고 있다

이것이 영어식 글씨이다


이것을 교정해서 획을 바르고 길게 쓰도록 이론화 한 책이

[손글씨 15일완성]의 주제이다


..



우리 글씨와 한자의 글씨의 정통성을 살린 글씨를

보기로 하면








한문의 경우 중지(가운데 손가락)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글씨를 써야 한다

한글의 경우 특히 궁체를 쓸 경우 이런 방식으로

획의 중심획인 세로획을

네 손가락으로 잡고 좌우 대칭으로 써야 한다.

세로획중심점이란  [손글씨 15일완성]에서는 고정축이라 명명하였다








위와같이 필을 잡고 쓰는 방법을 사지필법이라고 명명 하였다.


이 방법으로 필을 잡고 쓰는 글씨를 보도록 하면...






한자와 한글이 좌우 대칭으로 쓰여져 있다

특히 한자는 모두 좌우대칭이 거의 완벽함을 보인다

..


[손글씨 15일완성]에서는 이 부분까지는 다루지 않았다

우선 세로획 만이라도 바르게 쓸 수 있도록

많은 분들에게 쉽게 설명하기 위함이기도 하였다.



한글의 경우

세로획을 중심으로 어떻게 대칭을 이루고 있는가를

보도록 하면






네 손가락으로 필을 잡고

중지를 중심으로 세로획을 내려면 바르게 길며

전혀 손가락 힘이 들지 않고 세로획이 내려온다

삼지필법에 길이 들여진 대부분 독자들이

이 방법으로 도전한다면

대단히 좋은 결과를 얻게 될 것이 확실시 된다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힘 든 교정과정을 거쳐야한 하기 때문에

한자 쓰기를 포기한 세대들을 위해서

삼지필법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사지법에 의한 획의 중심을 살펴보면,












어제를 기준으로

오늘의 글씨를 사랑하는 많은 분들을 위해서

이 글을 올립니다.



검지 중심으로 손 안의 글씨로 획을 내리면

세로획은 바르게 내려오지마는  길게 내리기가 쉽지 않다

이경우 글씨를 조금 안쪽으로 들여 써서

세로획이 중지선에 맞도록 약간 손 안으로 들여서 쓰도록 하면 된다.








위 이미지에서 삼각골은 본 교제에서 말하는 고정축을 의미한다.


독자 여러분들의 뜨거운 관심과 격려에 감사 드립니다





[손글씨 15일완성] 저자   차종안   올림